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구당 5.2억원·전년比 4.1%↓…2008년 이후 첫 감소
국민 순자산, 2.2% 증가한 2경380조원…통계 편제 이후 최저 증가율

13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전원 대비  3.1%포인트(p) 하락한  63.6%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5억271만원으로 추산됐다. 1년 전인 2021년 말(5억4301만원)보다 4.1% 줄어든 액수다. ⓒ연합뉴스
지난해 부동산 가격의 하락으로 가구당 순자산(금융자산·비금융자산)이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 역시 2.2% 늘어나는 데 그치며 통계 작성 이후 최저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은행(한은)과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5억271만원으로 추산됐다. 1년 전인 2021년 말(5억4301만원)보다 4.1% 줄어든 액수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을 따로 추계하지 않는다. 해당 가구당 순자산액 추정액 수치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 규모(1경1237조원)를 추계 가구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전년보다 2.8%(317조8000억원) 하락했다. 전체 순자산과 가구당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이 감소한 것은 부문별 순자산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8년 이래 처음이다. 자산 종류별로는 1년 사이 주택 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302조7000억원 줄었고, 금융 순자산도 15조1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현금·예금이 151조4000억원 증가했으나 주가 하락으로 지분증권·투자펀드가 151조8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구성 비중은 △주택 5728조원(51.0%) △주택 이외 부동산 2651조원(23.6%) △현금·예금 2290조원(20.4%) △보험 등 1545조원(13.8%) △지분증권 등 982조원(8.7%) 등이었다.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이 가계 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75.2%에서 지난해 74.6%로 떨어졌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뿐 아니라 금융·비금융법인, 일반 정부의 순자산을 모두 합한 '국민 순자산'은 지난해 말 2경380조원에 달했다. 1년 전(2021년 말)보다 441조5000억원(2.2%) 늘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지만, 증가율(2.2%)은 지난 2008년 통계 편제 이후 가장 낮았다. 국민 순자산 규모는 명목 국내총생산(2162조원)의 약 9.4배를 기록, 배수가 전년(9.6배)보다 하락했다. 국민 순자산 증가율(2.2%)이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3.9%)을 하회하면서다. 국민 순자산 증가폭이 둔화한 것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비금융자산의 '명목 보유손익(자산가격 변동에 따른 순자산 증감)'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국민 순자산의 증감 요인을 보면, 자산 순취득(거래 요인)은 2021년 325조9000억원에서 지난해 275조5000억원으로 소폭 줄어드는데 그쳤다. 그러나 거래 외 증감에서 명목 보유손익이 2021년 1357조5000억원 이익에서 74조3000억원 손실로 돌아섰다. 명목 보유손익 손실을 나타낸 것은 지난 1998년(-140조2000억원) 이후 처음이다.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대차대조표(B/S) 팀장은 "지난해 거래 요인에 해당하는 자산 순취득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주택 자산을 중심으로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명목 보유 손익이 큰 폭의 이익에서 손실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부동산 자산(1경4710조원)은 1년 전보다 34조9000억원 감소해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77.1%에서 지난해 75.8%로 하락했다. 주택 가격 하락으로 지난해 전체 주택 시가총액(6209조원)이 1년 전보다 342조8000억원(5.2%)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