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년간 인구 8% 늘 때 의사는 100% 증가…흔들리는 윤 대통령의 의료 개혁 추진 논리

9월13일 한국갤럽 여론조사가 발표됐다. 윤석열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20%가 나왔다. 윤 대통령의 임기는 아직 절반이 되지 않았다. 11월10일이 돼야 절반이 된다. 윤 대통령 국정 지지율 20%는 세 가지 차원에서 놀라운 수치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9월4일 경기도 의정부시 가톨릭대학교의정부성모병원을 찾아 응급 의료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9월4일 경기도 의정부시 가톨릭대학교의정부성모병원을 찾아 응급 의료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첫째, 한국갤럽 기준으로 윤석열 정부 들어 ‘최저치’에 해당한다. 직전까지 윤 대통령의 최저 지지율은 5월31일 발표된 21%였다. 이 기록을 갈아치웠다. 둘째, 1987년 민주화 이후 임기 전반기에 20%를 찍은 최초의 대통령이 됐다. 전임 대통령들은 임기 말이 되어서야 지지율 20%대에 진입했다. 셋째, 대통령 지지율이 여당 지지율보다 8%포인트 낮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역대 대통령들의 경우 임기 전반기에는 대통령 지지율이 여당 지지율보다 높은 게 일반적이다. 같은 시기에 발표된 국민의힘 정당 지지율은 28%였다. 국민의힘 지지자 중에서도 윤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다.

윤 대통령 지지율에서 특징적인 것은 ‘보수’에서도 반대가 많아졌다는 점이다. 여론지형에서 보수는 크게 세 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지역은 영남, 세대는 60대와 70대 이상, 이념은 보수층이다. 이를 보여주는 게 [표①]이다. 

‘의대 정원 확대’,  尹 지지율 추락의 핵심 이유

먼저, 지역을 살펴보자. 대구·경북(TK)의 경우 윤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는 의견은 35%, ‘잘못하고 있다’는 의견은 57%였다. 부·울·경(부산·울산·경남)의 경우 ‘잘하고 있다’ 22%, ‘잘못하고 있다’ 68%였다. 부·울·경 민심은 전국 평균과 크게 다르지 않았고, TK도 22%포인트 격차로 ‘잘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연령별로 60대와 70대도 돌아섰다. 60대의 경우 ‘잘하고 있다’ 32%, ‘잘못하고 있다’ 59%였다. 70대의 경우 ‘잘하고 있다’ 37%, ‘잘못하고 있다’ 48%다. 6070세대도 ‘잘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더 많다. 이념층의 경우, 중도층은 ‘잘하고 있다’ 16%, ‘잘못하고 있다’ 74%였다. 보수층은 ‘잘하고 있다’ 38%, ‘잘못하고 있다’ 53%다.

윤 대통령에 대한 여론은 왜 이렇게 돌아섰는가? 총체적으로 신뢰를 잃었지만, 의대 정원 논란과 의료 대란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 한국갤럽은 주관식으로 ‘부정평가 이유’를 물었다. ‘의대 정원 확대’ 18%, ‘경제·민생·물가’ 12%, ‘소통 미흡’ 10%, ‘독단적·일방적’ 8%, ‘전반적으로 못한다’ 6%가 나왔다. 의대 정원 확대가 부정평가 1위로 올라왔다. 

한국갤럽은 동일한 질문을 추적 조사했다. “의대 정원 확대가 잘된 일이라고 보십니까?”라는 동일한 질문에 대해, 2월에는 ‘잘된 일’이라는 답변이 76%였다. 6월에는 66%였다. 9월에는 56%가 됐다. 조사마다 딱 10%포인트씩 떨어졌다. “아플 때 진료받지 못할까봐 걱정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3월에는 69%가 ‘그렇다’고 답변했다. 9월에는 79%가 ‘그렇다’고 답변했다. 

윤 대통령이 의대 정원 확대를 처음 추진하던 2월 여론의 반응은 좋은 편이었다. 한국갤럽 2월 조사에서 ‘잘된 일’이라는 답변이 76%였다. 당시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30%대 초반대였음을 고려하면 특히 높은 수치였다. 최근 여론을 보면, ‘응급실 뺑뺑이’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다 보니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찬성 비율도 낮아지고 있다. 

윤 대통령이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한 근본 이유는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강화를 위해서였다. 이런 취지가 잘 담겨 있는 정부의 공식 문서(?)는 4월1일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문이다. 대국민 담화문을 보면, 의료 개혁의 ‘목표’는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강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이 의대 정원 확대다. 의대 정원이 2000명 추가되면,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분야에서 부족한 사람들이 채워질 수 있다는 논리다. ‘낙수효과론’이라고 명명하는 이유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흥미롭게도, ‘낙수효과론’이 설득력이 없음은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통해 반증 가능하다. 대국민 담화문에는 두 개의 수치가 나와 있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 활동 의사 수는 11만5000명이다. 둘째, 입학 정원은 총 3058명이다. 

의사 늘려도 ‘필수의료’ 담당할 의사 늘어나지 않아

우리는 이러한 두 가지 수치를 갖고, 지난 20년간 추가로 배출된 의사 숫자를 추정해볼 수 있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3058명을 3000명으로 계산하면, 3000명×20년은 약 6만 명이다. 현재 활동 의사가 11만5000명이니, 20년 전에는 (사망자 일부를 포함하면) 약 6만 명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한 게 [표2]다.

[표②]는 총 의사 증가와 총인구 증가를 비교했다. 2024년에 총 의사가 11만5000명이니 20년 전이었던 2004년에는 약 6만 명이었다. 증가율은 100%다. 반면, 2024년 총인구는 약 5200만 명이다. 20년 전이었던 2004년에는 4800만 명이었다(통계청). 증가 규모는 400만 명이고, 증가율은 8.3%다. 의사 증가율은 100%, 인구 증가율은 8.3%였다. 총 의사 증가율이 매우 가팔랐음을 알 수 있다. 의대 정원을 확대하면 해결된다는 ‘낙수효과론’은 설득력을 잃는다.

지난 20년간 인구가 8.3% 증가할 때, 의사는 100% 증가했다. 그럼에도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는 더욱 악화됐다. 왜 그랬을까?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필수의료’와 ‘비(非)필수의료’의 수익 격차 확대였다. 필수의료는 ‘급여’ 부분이 대부분이고, 비필수의료는 ‘비급여’가 대부분이다. 급여 분야 수가는 원가보존율이 약 81% 수준이다. 비급여는 100%를 초과한다. 150%를 넘는 경우도 많다. ‘필수의료=급여’ ‘비필수의료=비급여’ ‘급여=저수가’ ‘비급여=고수가’ 구조를 갖게 됐다.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소득이 상승하면, ‘의료 수요’도 고급화되고 다양해진다. 거기다 실손보험 확대로 인해 비급여 부담이 왕창 줄었다. 

즉, ‘급여=필수의료=저수가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덧붙여, 실손보험 적용 대상에서 ‘본인 부담금’ 20%는 제외시키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급여와 비급여의 수익 격차 확대가 필수의료 약화의 진짜 원인이다. 의료 대란의 정치학에서 꼭 챙겨야 할 핵심은 정작 여기에 있다. 윤 대통령이 빠진 ‘낙수효과의 덫’도 바로 이 지점이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 소장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