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기의 지상파 예능, 시청률과 취향 사이의 딜레마
김태호 PD마저 지상파 예능 떠나
《일밤》부터 《무한도전》에 이르기까지 한때 MBC는 누가 뭐래도 자타 공인 예능의 맹주였다. 쌀집아저씨 김영희 PD부터 《무한도전》 김태호 PD까지, 이들이 시도한 도전들은 사실상 예능 전체의 트렌드가 됐기 때문이다. 특히 《무한도전》은 레전드였다. 이 갈래에서 뻗어나온 KBS 《1박2일》 같은 여행 예능은 물론이고 캐릭터쇼, 상황극, 토크쇼, 리얼리티쇼 등등 거의 10년 가까운 시기의 예능 트렌드를 이 프로그램이 선도했다. 하지만 이러한 권좌는 유튜브나 넷플릭스, 티빙 같은 OTT들이 새로운 플랫폼으로 등장하면서 서서히 무너졌다. 그래도 끝까지 MBC에서 버텨냈던 김태호 PD마저 작년 MBC를 떠나 독립한 건 그래서 하나의 상징적인 사건처럼 여겨졌다. 이건 KBS나 SBS 같은 여타 지상파는 물론이고 tvN, JTBC 같은 케이블과 종편에서 힘을 발휘하던 채널들도 마찬가지였다. KBS 《개그콘서트》가 폐지되고 개그맨들이 대거 유튜브로 옮겨와 ‘피식대학’ 같은 코미디 채널로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한 사실이나, 나영석 PD가 tvN 소속으로 있다가 최근 에그이즈커밍이라는 예능 제작사로 옮겨간 사실도 이런 흐름을 말해 준다. 이른바 지상파(를 포함한 레거시 미디어) 예능의 시대는 저물었다.취향의 시대…새롭고 진정성 있는 시도 필요
최근 들어 지상파 같은 레거시 미디어들의 예능은 남은 게 연예인 관찰카메라뿐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곤 한다. 새로운 기획이나 아이디어로 승부하는 게 아니라, 적당한 구성으로 관찰카메라를 세워둔 후 거기 나오는 이야기들을 편집해 담는 연예인들의 일상 리얼리티밖에 시도할 게 없다는 자조 섞인 이야기다. 물론 관찰카메라는 이제 어디에서든 활용되는 촬영의 방식으로 자리 잡았지만, 그 위에 얹어지는 참신하면서도 진정성이 엿보이는 시도들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레거시 미디어라서 못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그때의 방식에 머물러 있는 게 문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놀면 뭐하니?》다. 김태호 PD가 있을 때 이른바 ‘부캐’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유재석의 1인 크리에이터 같은 도전이 주목을 끌었던 이 프로그램은, 그가 빠지자 과거 《무한도전》 시절의 향수로 퇴행해 버렸다. 최근 들어 PD가 교체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여기서도 역시 중요해지는 건 SNS 시대가 요구하는 ‘진정성’을 얼마나 깊이 있게 보여주느냐가 아닐까 싶다. 물론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가 정답일 수는 없다. 다만 이 변화 속에서 과거에 머물러 옛 시청자들의 추억에 기대는 건 스스로 위기를 자초하는 일이 될 거라는 점이다. 새로운 인물, 새로운 시도, 새로운 진정성을 착장하는 것에서부터, 지상파 같은 레거시 미디어들이 마주한 위기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거기에 해답이 있을 수 있다.
“15년 간 지옥”…9세 의붓딸 성폭행한 50대의 죗값
“성적 호기심 때문에” 샤워장서 장병 70여 명 알몸 찍은 해군 병사
“나만 벼락거지” 공포감에…‘광기’ 뒤집어쓴 K-증시
“주호민에 묻는다. 경찰 신고, 보복의도 아닌가” 일침 날린 교사
교제하던 30대女·모친 살해 후 여친 아들 데리고 도주한 50대
“나 변호사야”…교사들이 증언한 ‘학부모 갑질’의 현실
학부모 연락에 “소름끼쳐”했던 고인…학교는 “번호 바꾸라”
전 부인 탓하던 도연스님, ‘출가 후 둘째아이 출산’ 사실이었다
‘왜 잠이 안오지?’…당장 확인해봐야 할 3가지
‘이건 다이어트 식품이라 괜찮아’…예외인 경우 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