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떠넘기기 아닌 지역공동체 모색…시설 유치전부터 공익모델 방식 찾는 게 중요
여주-원주·횡성 '광역화장시설' 대표적…3곳 지자체 공동사용분담 해법 찾아

사정이 이렇자 지자체간 적극적인 상생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더 이상 일방적인 떠넘기기가 아닌 지역공동체 회복 차원이다. 시설 유치 때부터 서로 이해를 담아내 공익모델로 삼는 방식이다.
경기 여주시와 강원 원주시 및 횡성군이 공동건립해 지난 4월 1일 정식 개원한 광역화장시설하늘나래원 @여주시
경기 여주시와 강원 원주시 및 횡성군이 공동건립해 지난 4월 1일 정식 개원한 광역화장시설하늘나래원 @여주시
지난 4월 문을 연 경기 여주-강원 원주·횡성 광역화장시설(하늘나래원)이 대표적이다. 이 시설은 여주시가 지난 2015년부터 강원 원주시, 횡성군과 함께 사업비 254억원을 들여 원주 흥업면 사제리 3만4030㎡에 조성했다. 공동 사용 조건으로 여주시가 58억원, 횡성군이 24억원씩 부담했다. 화장시설은 4천34㎡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화장로 7기가 설치됐다. 화장로는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연간 최대 5천여 구 정도 화장이 가능하다. 봉안시설은 2천615㎡에 지하 1층, 지상 2층에 유골 1만기를 안치할 수 있다. 여주시에서 자동차로 불과 30분 거리이며, 시설 이용료는 1구당 10만원이다. 이에 여주시는 매년 2억여원씩 지원해 온 화장장려금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지난해 모두 2억3986만원에 이어 올해 6월까지 1억2200만원을 집행했다. 하지만 이번 하늘나래원 건설로 화장장려금 지원은 지난 7월부터 폐지했다. 기존 소규모 노후 화장시설로 골머리를 앓던 원주시도 한시름 덜었다. 지난 1964년 건립된 태장 1동의 원주시화장장은 화장로가 2기에 불과했다. 2007년에서야 화장실을 수세식으로 바꿀 정도로 시설도 낡은 상태였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사업지가 선정됐지만 이번엔 사업비가 문제였다. 원주시가 시 재정상 사업비 전액을 부담하기엔 무리라는 판단에서다. 결국 원창묵 원주시장은 민자유치를 통한 사업비 분담을 제안했다. 그의 이 같은 제안은 여주시와 횡성군이 참여하면서 성과를 거뒀다. 2016년 4월 횡성군·여주시와 화장시설 공동건립 협약을 체결하면서다. 이후 하늘나래원은 3년 8개월만에 완공돼 지난 4월 1일 정식 개원했다. 각 지자체의 숙원사업이 서로의 양해와 노력으로 큰 결실을 본 셈이다. 이에 기피시설 상생모델을 위한 치밀하고 신중한 접근 필요성이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 이영주 도의원(양평1)은 “소위 기피시설은 이제 지자체간 갈등 해소 차원에서 볼 게 아니라 지역 균형발전과 공동체 회복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도내에 산재한 기피시설에 따른 주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운영주체인 서울시의 전향적인 자세 전환도 물론 필요하지만 해당 시설 유치 당시 계약서 내용과 맥락을 꼼꼼히 살펴 부당함을 개선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라고 했다.  

☞특집 '경기, 언제까지 서울 ‘님비’ 떠안나' 연관기사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