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예수 · 백광현 · 황도연 · 이제마 등 '醫風 당당'

개화기 이래 서양 의학을 수입하면서 한의학은 극히 최근까지 의학 담론에서 철저하게 배제되고 억압받아 왔다. 하지만 한의학에 대한 편견이 조금씩 걷히고 전통 의학사를 다시 쓰려는 움직임이 일면서, 전통 시대 의학사를 수놓았던 명의(名醫)들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의림촬요(醫林撮要)> 편찬자(부분 편찬 ·부분 교정)이자 조선 선조대 명의로 허 준과 쌍벽을 이루었던 양예수(1530?~1584)는 최근에 와서 후학들의 덕을 가장 톡톡히 보고 있는 인물이다. 종전까지 양예수는 줄곧 허준의 명성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다.

최근 나온 각종 연구 성과에 따르면, 양예수는 조선 중기 의학을 한 단계 도약시킨 인물이다. 그가 편찬에 참여했던 <의림촬요>는 <동의보감> 탄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아울러 그는 <동의보감> 편찬에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

관련 기록에 따르면, 양예수는 의사로서 능력도 뛰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임진왜란 때 황해도 해주로 피난한 중전을 호종했으며, 선조와 세자의 질병을 치료하기도 했다. '의사로서는 허준보다 한 발짝 앞섰을 수도 있다'는 것이 현재 이방면 연구자들의 추측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지만 조선 시대 현종때 활약했던 백광현(1625~1697)은 '뛰어난 침술가'로서 전설과 같은 활약상이 사료에 전한다. 침술로 현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의 종기를 완치시킨 것으로 잘 알려진 그에 대해서는, 일찍이 1950년대에 전통 의학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김두종 박사(작고)가 자신의 저서<한국 의학사>에, 그에 관한 이야기를 쓰기 위해 따로 한 절을 할애했을 정도이다. 이에 따르면, 독학으로 의술을 공부한 백광현은 특히 종기치료에 뛰어나 '신의(神醫)'라는 별명을 얻었다.
<동의보감>으로 논리적 체계를 갖춘 전통 의학계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몇몇 출중한 의가들이 출현하자 대중화 길을 걷게 된다. <제중신편(濟衆新編)>을 지은 강명길(1737~1800), 아들과 함께<방약합편(方藥合編)>을 지은 황도연(1807~1884)등은 이 시대를 대표한 의사 겸 의학자라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영조대에 의과에 급제해 궁중 의사 생활을 시작한 강명길은, '어의'로 정조의 병을 돌보다가 왕이 죽는 바람에 처형된 비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하지만 의학사적으로 그가 펴낸 <제중신편>(8권)은 연구자들에 의해 그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걸작이다.

<제중신편>은 단순히 <동의보감>을 잘 요약해 의학을 대중화한 의서로서만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 책의 내용을 좀더 찬찬히 살펴본 지창영씨(경희대 한의학과 박사과정)에 따르면, <제중신편>은 전체적으로는 <동의보감>을 요약했지만, 부분적으로는 <동의보감>의 한계를 뛰어넘는 임상 경험과 의학 정보를 담고 있다.

<방약합편> 말고도 <의종손익>같은 저서를 남긴 황도연은 특히 의학 대중화 관점에서 주목되는 의사 겸 의학자이다. 그는 철종 때부터 고종 즉위 무렵까지 서울 무교동에 개업해 명성을 떨쳤던 인물. 그가 펴낸 의서 중 <방약합편>은 그동안 한의학계 일부에서 '지나치게 의학 이론을 단순화해 돌팔이 의사를 양산시켰다'는 비난을 받아 왔다. 그런데 최근 그같은 단순화 작업이 오히려 재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의료사가인 신동원씨는 자신의 책 <조선사람의 생로병사>에서 "조선시대 최고 의서로 서슴지 않고 <방약합편>을 꼽겠다"라고 말할 정도로 극찬하고 있다.

일부 의학사 연구자 사이에서 '전통 의학의 최대 기린아'로 평가되는 동무 이제마(1837~1900)는 의사로서보다는, 이른바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창시한 의학 이론가로서 전통 시대의 최후를 장식한 인물로 꼽힌다. 현재 그가 남긴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은 적어도 종래 한의학의 전통을 깨뜨렸다는 측면에서는 이의가 제기되지 않는 독창적인 저술로 평가되고 있다. 한의학계 내부에서는 그의 학설을 추종하며 연구하는 학파가 따로 큰 산맥을 형성할 정도로 현재 한의학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