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일의 책] '연습은 장엄한 구도의 길이었다'

 
<연습은 장엄한 구도의 길이었다>
김대환 지음, 현암사

필자처럼 음악에 문외한이어도, 살아 있을 때 이미 전설이 된 타악의 명인 김대환(1933~2004)에 관해 한 번쯤 들어본 사람이 적지 않을 듯하다. 북채 여섯 개를 한꺼번에 쥐고 연주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인물. 김대환이 무언가를 두드리면 이내 후드득 비가 떨어진다는 전설이 있다. 그야말로 천인감응(天人感應)이라고나 할까. 그래서인지 그의 호도 흑우(黑雨)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그를 타악의 명인이 아니라 쌀 한 톨에 반야심경 2백83자를 새겨 넣은 이른바 세서미각(細書微刻)의 달인으로 떠올릴지도 모르겠다. 도올 김용옥은 김대환의 세각 작품을 일러 “왕희지의 서법보다 더 자유분방한 그의 작품 앞에선 타이베이 고궁 속의 세각도 빛을 잃는다”고 평가했다. 1990년 세계 <기네스북>에 실리기도 한 이 범상치 않은 사건은 그러나 타악 연주와 무관하지 않다. 김대환은 이렇게 말한다. 

 
“전혀 상관없는 분야인 듯 보이지만 소리 찾기와 세각은 내게 하나다. 목판을 파고드는 칼끝의 사각사각하는 소리는 내 귀의 미세한 감각을 살려냈고 소리의 세계를 더 깊고 풍요하게 했다. 뇌성벽력에서 이슬방울 굴러가는 미음에 이르기까지 자연의 소리, 무질서한 감성의 소리에 귀를 기울였으며, 그것을 북소리로 구현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했다.”

위의 말에서도 엿볼 수 있지만 김대환은 ‘타고난 천재’가 아니었고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하늘이 허락하는 수준의 경지를 스스로 체득한’ 사람이었다. 그 노력이란 평생에 걸쳐 하루 4시간만 잠을 자고, 공연을 마치고 돌아온 새벽에도 반드시 연습에 매달리는 것, 요컨대 ‘연습이라는 장엄한 구도의 길’로 일관하는 것이었다. 그의 말을 들어보자. 


“나는 오로지 연습 하나로 일관해온 사람이다. 음악에 타고난 재능이 없다는 사실을 일찌감치 깨우쳤기에 자나 깨나 연습에 골몰했다. 젊은 시절 트럼펫이든 드럼이든 아무리 이를 악물고 연습해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주위 사람들은 다른 일을 찾아보라고 했다. 그럴수록 독종이 되어 갔다. 밤무대를 뛰고 오면 새벽 3시. 하숙방으로 들어가는 대신 악기 창고로 들어갔다. 후배에게 바깥에서 자물쇠를 채워달라고 부탁한 뒤 날이 새도록 드럼을 두들겼다.”

신중현과 조용필이 ‘한국 그룹사운드 음악의 맏형’으로 추앙했던 인물이고 보니 갖가지 전설이 없을 수 없다. 그런 전설 가운데 하나는 이렇다. 1970년대 초 무명 신인이던 조용필은 서울 소공동 레인보우클럽에서 김대환과 조우했다. 당시 베트남전 위문공연을 다녀온 직후였던 김대환은, 조용필이 바비 블랜드의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보고 단번에 자질을 알아보고 함께 활동하자고 제안했고, 조용필이 이 제안을 받아들임으로써 김대환·최이철·조용필로 이루어진 김트리오가 완성됐다. 당시 조용필은 보컬이 아닌 기타만 담당했다. 김대환과 만나지 않았다면 오늘날과 같은 조용필이 가능했을까? 어느 분야에서든 평생에 걸친 각고의 노력 끝에 달인의 경지에 도달하면 자연스럽게 철학자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아니나 다를까, ‘모든 박자는 일박(拍一拍)에 통섭(通涉)된다’는 특유의 음악 철학을 펼친 김대환은 세상을 떠나기 얼마 전인 2004년 1월16일 한성대에서 명예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성대 한완상 총장의 당시 축사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그의 예술적 성취 수준은 한국의 학벌이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신비의 경지이며, 서로 전혀 다른 소리의 세계와 글씨의 세계를 자유롭게 그러나 피나는 수행으로 드나들면서 우리에게 경탄스러운 아름다움을 펼쳐 보여주고 있다. 그는 실로 도사의 경지에 이르렀으나 자기가 도사인지도 몰랐다. 그에게는 작업이 한낱 손놀림이 아니라 기쁨의 고통이요, 깨달음의 수행이었다.”

2004년 3월2일 세상을 떠난 김대환의 1주기를 맞아 생전의 어록과 자전적 기록들을 정리해 펴낸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명실상부한 철학자와 만날 수 있다. 철학자 김대환이 남긴 말들 가운데 특히 깊은 여운을 남기는 것들로 이런 것이 있다. “귀로 들리지 않는 것은 눈으로 듣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귀로 볼 수 있다.” “북은 때리는 게 아니라 울리는 것이다. 북을 때리면 가죽이 채를 밀어내고, 북을 울리면 가죽이 방망이를 껴안는다. 가죽을 잘못 다루는 사람이 북을 치면 제아무리 굵은 채라도 부러지고 마는 것은 그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