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1월8일 한국 언론은 일제히 두 명의 한인이 미 연방 하원의회에 동반 입성했다고 보도했다. 캘리포니아 제39선거구와 뉴저지 제3선거구에서 하원의원 선거에 도전한 영 김 후보와 앤디 김 후보 얘기였다. 이들은 선거함이 100% 개표될 때까지 상대 후보를 앞섰다. 당연히 한국 언론은 당선으로 봤다. 그러나 앤디 김 후보의 당선이 확정된 것은 11월14일이었다. 시사저널이 영 김 후보와의 인터뷰를 추진했을 때, 영 김 후보 측은 “당선 확정까지 몇 주가 소요될 수도 있다. 당선 전까지 인터뷰하는 것은 관례에 어긋난다”며 “당선 확정 이후 인터뷰에 응하겠다”고 답변했다. 영 김 후보의 당선 여부가 열흘 가까이 지난 현재까지도 불투명하다는 얘기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11월6일 치러진 미 중간선거에서 앤디 김 후보가 당선되는 등 한국계 후보들이 상당히 선전했다. 영 김 후보(사진)는 11월14일까지만 해도 근소한 차이로 선두를 유지했으나, 막판 우편 투표 개표 끝에 결국 역전패 했다. ⓒ AP 연합


미국의 선거는 주(州) 선거법에 따라 치러진다. 주마다 선거법이 조금씩 다르다. 영 김 후보가 출마한 캘리포니아는 최근 몇 년 동안 신속한 개표보단 더 많은 투표를 독려하는 방향으로 선거법을 개정했다. 2016년부터 시행된 캘리포니아 선거법은 한국의 부재자 투표처럼 우편 투표를 허용하고 있는데, 올해부턴 선거일에 보낸 투표까지 유효표로 인정하고 있다. 올해 450만 명 이상의 캘리포니아 주민들이 우편 투표를 실시했다. 선거함을 100% 개표했다 하더라도, 이후에 도착한 우편 투표용지를 개표하는 데 상당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미국의 독특한 선거 문화 영향도 작동했다. 미국에선 선거 이후 상대 후보가 결과 승복 선언을 하기 전까지 승리 선언을 하지 않는 것이 관례처럼 자리 잡고 있다. 낙선한 상대 후보에 대한 배려이자, 유권자들의 통합을 위한 과정이다. 이 관례를 깨는 후보는 무례하면서 배려 없는 정치인으로 낙인찍히기도 한다.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이 관례를 깨 언론의 지탄을 받기도 했다. 영 김 후보가 우편 투표 결과까지 종합해 이겼다고 하더라도 상대인 길 시스네로스 후보가 결과에 승복하기 전까지 당선 인터뷰를 하지 않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연관기사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