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교민 400여 명 상대로 ‘불완전판매’ 의혹
“하나은행 상품 중 이율이 괜찮은 거 있나요?”(이씨)
“이게 요즘 잘 나갑니다. 이자도 10%대고 1년간 돈을 예치해 놓으면, 5년간 보험 혜택도 줍니다.”(하나은행 직원)
“보험인가요? 전 보험 필요 없는데….”(이씨)
“국영 보험사가 보장하는 건데, 그냥 예금이라고 생각하세요. 투자상품 아니고, 예금입니다.”(하나은행 직원)
현지 직원 말만 믿고 이씨는 2억원을 은행에 맡겼다. 2년이 지난 지금 이씨는 원금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하나은행이 불완전판매 논란에 휩싸였다. 우리나라가 아닌 인도네시아에서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고객 400여 명은 2016년부터 제이에스 프로텍시(JS Proteksi)라는 저축성 보험에 가입했다. 은행에서 보험을 파는 방카슈랑스 방식으로 판매된 이 상품은 인도네시아 국영 보험사 지와스라야(Jiwasraya)가 기획한 상품이다.인니 보험사, 유동성 위기로 원금 반환 못 해
상품 만기일은 지난해 10월과 12월이었다. 당연히 만기 도래 후 약속대로 고객에게 원금과 이자를 돌려줬다면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해 10월8일부터 지와스라야가 약속한 날짜에 원금을 돌려주지 않으면서 문제가 생겼다. 국영 보험사임에도 불구하고 유동성에 문제가 생기면서 고객들의 돈을 돌려주지 못하는 초유의 일이 발생한 것이다.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은 현재 지와스라야의 유동성 및 회계부정을 면밀히 따져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에서는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이 이 회사의 부실을 인정할 경우, 또 다른 국영 금융사의 신용도에도 큰 타격을 줄 거라고 우려하고 있다. 지와스라야는 인도네시아 정부 소유의 보험사로 운영자산만 40조원에 이른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타붕안 느가라 은행(BTN)·라크얏 인도네시아 은행(BRI) 등 인도네시아계 은행을 비롯해 ANZ·QNB·빅토리아 인터내셔널·스탠다드 차타드 등 대형 은행들이 이 상품을 팔았으며, 한국계 은행으로는 하나은행 인니 법인이 유일하게 판매했다. 문제는 상품 판매에 적극 나섰던 하나은행이 정작 사태가 나자, 나 몰라라 한다는 데 있다. 사태가 터지기 전까지만 해도 하나은행은 현지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 중 교민들의 신뢰가 가장 높았다.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이 합쳐지면서 거래금액 규모도 한국계 은행 중 가장 많았다. 그렇다 보니 한국에 있는 하나은행 본사에서도 해외 진출 성공사례로 이 은행을 많이 홍보했다.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부 교민들은 하나은행이 제대로 상품을 설명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나은행이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로 볼 수 있는 불완전판매에 나섰다는 것이다. 피해자 박지현씨는 “창구 직원과 마케팅 직원이 상품을 설명하면서 ‘예금이며 5년간 보험 혜택도 받는다’고 설명했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상품 판매에 있어 하나은행 직원이 아니라 지와스라야 직원으로 추정되는 판매직들이 동원됐다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교민 김아무개씨는 “분명 계약 당시 하나은행 로고가 박힌 명함을 받았는데 나중에 확인하니 지와스라야 직원이었다”고 말했다. 시사저널은 최근 이 직원과 고객이 주고받은 휴대전화 문자 자료를 입수했다. 자료에는 고객이 투자상품 아니냐고 묻자 “투자상품이 아니다. 절대 아니다(Bukan. Ini Pasti)”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교민들이 많이 찾는 현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제 와서 나 몰라라 하는 것을 보며 분노를 느낀다”면서 “모든 거래를 중단하는 것은 물론 불매운동까지 벌이고 싶은 심정”이라는 글이 쏟아지고 있다. 한국계 은행이면서도 교민들에게 상품을 팔면서 최소한의 한국어 자료나 설명도 없다 보니 이런 문제가 생겼다는 주장도 있다. 피해자 이아람씨는 “교민들 대부분이 현지어에 익숙하지 않아 해당 상품의 성격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면서 “국영 보험사 상품이지만 하나은행의 예금처럼 당연히 예금자 보호를 받을 거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하나銀, “우리에게 법적 책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