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인정보 암호화하지 않은 채 파일서버 보관…해커가 탈취
전체 회원의 44% 정보 유출…“내부 업무망 점검 전혀 안 해”

고학수 위원장, 개인정보위 전체회의 주재(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8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5.8 jjaeck9@yna.co.kr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8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실내 스크린골프연습장 분야 업계 1위 '골프존'이 약 221만 명에 달하는 고객들의 이름과 전화번호 등을 유출해 국내 업체 중 역대 최대 과징금을 물게 됐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제8회 전체회의에서 골프존에 대해 안전조치의무 위반으로 과징금 75억400만원을, 개인정보 파기의무 미준수로 과태료 540만원을 부과하기로 의결했다고 9일 밝혔다. 아울러 △회사의 개인정보 처리 흐름을 분석해 관리 계획 수립 △공유 설정을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조치 강화 △개인정보보호책임자의 위상과 역할 강화 △주기적으로 전 직원 대상 개인정보 보호교육 실시 등을 명령했고, 이러한 사실을 홈페이지 등에 공표하도록 했다.

지금까지 과징금이 가장 많이 부과된 국내 기업은 LG유플러스로 지난해 68억원을 부과받았다. 그러나 이번에 골프존이 이를 넘어섰다.

골프존은 지난해 11월 해커에 의한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다. 랜섬웨어는 악성 소프트웨어로 데이터나 PC 등을 암호화한 뒤 이를 풀려면 보상을 요구하는 형태의 공격이다. 이 과정에서 해커는 골프존 직원들의 가상사설망 계정정보를 탈취해 업무망 내 파일서버에 원격 접속한 뒤 이곳에 저장된 파일을 외부로 유출했다. 이후 유출된 정보가 다크웹에 공개되면서 골프존 업무망 내 파일서버에 보관됐던 221만 여명의 서비스 이용자와 임직원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생년월일, 아이디 등 각종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또한 5831명의 주민등록번호와 1647명의 계좌번호도 유출됐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골프존은 전 직원이 사용하는 파일서버에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다량의 개인정보가 저장돼 공유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을 뿐더러, 파일서버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을 소홀히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골프존이 주민등록번호 등을 암호화하지 않은 채 파일서버에 보관하고 있었고, 보유기간을 넘기거나 처리 목적을 달성해 불필요해진 38만여 명의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않은 사실도 이번 조사에서 드러났다.

골프존 개인정보 유출 과정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골프존 개인정보 유출 과정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골프존은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급증하던 시기에 새로운 가상사설망을 도입하면서 외부에서 내부 업무망에 아이디(ID)와 암호만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업무망 안에 존재하는 파일서버에 대해 개인정보 유출 관련 보안 위협을 검토하지 않았고, 필요한 안전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 서버로의 원격 접속과 서버 간 원격 접속과 업무망 내 모든 서버의 인터넷 통신이 허용됐고, 이 틈을 노린 해커는 탈취한 서버 관리자 계정으로 가상사설망을 통해 파일서버에 접근할 수 있었다.

지난해 사고 발생 당시 골프존이 "회원 개인정보 유출은 없다"고 밝혔던 만큼 개인정보 유출을 은폐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그러나 골프존 측은 당시 유출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을 뿐 숨긴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이번 처분은 지난해 9월 시행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이 실질적으로 적용된 첫 사례다. 이전까지는 과징금 상한액을 '위법행위와 관련된 매출액의 3%'로 했지만, 개정된 이후에는 '전체 매출액의 3%'로 조정하되 위반행위와 관련 없는 매출액은 제외하도록 했다. 관련 없는 매출액을 증명해야 하는 책임이 기업에 주어졌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과징금 부담이 무거워졌다.

강대현 개인정보위 조사1과장은 "개정법이 적용되면서 과징금 부과 대상에 기존 망 사업자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사업자가 추가됐고, 과징금 상한액도 확대됐다"며 이번 골프존 케이스는 두 가지가 다 동시에 적용됐기 때문에 무거운 과징금이 부과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랜섬웨어 협박을 당한 직후 내부 업무망에 대해 점검을 전혀 하지 않았던 것이 이번 사건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골프존 회원의 44%에 달하는 220만 건의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조치를 하지 않았고, 개인정보가 내부 업무망에 보관된 사실 자체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