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레스트 모델’로 분석…민주 153~169석, 국힘 114~126석 전망
‘깜깜이 기간’ 민심의 향배, 어디로 향할지가 관건

‘신창운의 미리 보는 4·10 총선’ 이번 회 칼럼은 총선을 6일 앞둔 4월4일 시점을 기준으로 분석·정리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본 연재는 이번 회를 마지막으로 마칩니다. [편집자 주]

4·10 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선거를 일주일여 앞두고 그동안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더불어민주당이 과반 의석으로 제1당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3월 4주 기준 지역구 정당 투표에서 민주당이 42%로 36%를 얻은 국민의힘에 비해 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그림] 참조). 실제 득표율에서 이 정도 격차가 나면 민주당이 전국 254개 지역구에서 150석 이상을 노려볼 수 있는 수치다. 반면 국민의힘은 100석 확보가 위태로워 보인다.

총선 판세를 예측하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대다수 전문가가 민주당의 총선 승리를 점치고 있는 데 반해 국민의힘 승리를 확신하는 전문가는 극히 예외적이다. 문제는 전문가들의 총선 전망이 전문가 수만큼 제각각이어서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할지 혼란스럽다는 점이다. 언론을 통해 발표되는 관심 지역구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도별 또는 권역별로 정당의 예상 의석수를 추정하고 있지만, 판세 예측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왼쪽)4월1일 인천 미추홀구 용현시장 앞에서 민주당 남영희 후보 선거운동원들이 율동을 하고 있다. (오른쪽)선거운동원들이 4월2일 충남 당진전통시장 앞에서 국민의힘 정용선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50여 곳 박빙…정확한 전체 판세 예측 어려워

더구나 지역구별 유권자 500명 대상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고 전체 총선 판세를 예측하는 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역대 총선을 돌아보면 전체 250여 개 지역구 가운데 1·2위 후보 득표율 격차가 5%포인트 미만인 곳이 평균 50개 정도이고, 10% 미만인 지역구까지 합치면 100개에 달할 때도 있다. 총선 D-15일 시점에 언론을 통해 공개된 양당의 자체 분석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지역구 가운데 82곳, 민주당은 110곳에서 ‘확실 우세’라는 전망치를 내놨다. 그러나 양당이 각각 우세하다고 판단한 지역구를 뺀 나머지 60여 곳은 승패를 예상할 수 없는 접전 지역이다.

여론조사가 과학적 방법이라고 하지만 개별 지역구마다 정당 후보별 승패 여부를 일일이 판단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2022년 대통령선거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 득표율을 0.2%p 차이로 족집게처럼 맞혔던 지상파 출구조사도 지난 20년 동안의 다섯 차례 총선에서는 정당별 의석수를 단 한 번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했다. 총선 결과는 그만큼 예측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선거를 앞두고 총선 전체 판세를 파악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 전체적인 판세 예상을 위해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지혜를 제안하고자 한다. 어떤 상황이나 현상을 파악하고 이해할 때 ‘부분보다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 말이다. 254개 지역구마다 후보들의 우세 여부를 판단해 총선 결과를 예측하는 방식이 ‘나무(Tree)를 보고 숲(Forest)을 파악’하는 ‘트리’ 모델이라면, 개별 지역구 승패 여부를 일일이 판정하는 대신 전체 판세를 보고 결과를 예측하는 접근 방식이 ‘포레스트’ 모델이다.

어떤 모델이든 여론조사에 기반하고 있는 건 똑같다. ‘포레스트’ 모델은 개별 지역구 여론조사가 아니라 전국 유권자를 대상으로 지역구에서 어떤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지 묻는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총선 전체 판세를 예측할 수 있다는 논리다. 이에 따르면 표본 수가 충분한 전국 단위 여론조사 결과만 있을 경우 정당별 의석수 예측이 가능하다. 우리의 경우 역대 총선 결과를 살펴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대전·충남북 등 충청권 지역 판세만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면 전체 총선 판세 예측이 그리 어렵지 않다. 영남이나 호남 등 기타 지역은 상수에 가깝기 때문이다.

수도권, 野 투표 44% vs 與 투표 36%

과거 총선 결과를 토대로 수도권 지역에서 국민의힘과 민주당 계열이 얻은 지역구 득표율과 당선자 수를 비교해 보면 [표]와 같다. 수도권 지역구 득표율을 보면 민주당 계열이 2004년·2016년·2020년 세 차례 총선에서 앞섰고, 국민의힘 계열이 앞선 건 2008년 한 번밖에 없다. 2012년엔 수도권 지역구 득표율이 동률이었다. 그런데 국민의힘과 민주당 양당 계열이 수도권에서 얻은 득표율과 의석수 사이엔 매우 놀랄 만한 상관성이 발견되고 있다.

2004년과 2016년 두 번의 총선에서 민주당 계열이 수도권에서 얻은 지역구 득표율이 국민의힘 계열에 비해 4%p 높게 나타났을 때 수도권 의석수는 민주당 계열 70%, 국민의힘 계열 30% 비율로 나누어졌다. 2008년 총선에선 국민의힘 계열이 수도권 지역구 득표율 49%로 민주당 계열(36%)보다 13%p 높게 나타나면서 의석수 비율이 75% 대 25%로 갈렸다. 반면 2020년 총선에선 민주당 계열이 수도권 지역구 득표율 54%로 국민의힘 계열(42%)에 12%p 앞서면서 85% 대 15% 비율로 나뉘었다. 2012년 총선에선 국민의힘과 민주당 계열이 수도권에서 얻은 지역구 득표율이 45%로 동률을 기록했다. 이 경우 수도권 의석수는 국민의힘 계열 40%, 민주당 계열 60%로 분류됐다. 수도권 득표율에서 국민의힘이 민주당과 대등해야 의석 40%를 차지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럼 22대 총선에서 수도권 지역 득표율과 의석수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까?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3월15일부터 29일까지 실시한 전국 단위 여론조사 결과 13개(전화면접 5개 + ARS 8개, 총 2만2000명 표본)를 수집해 수도권 지역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어느 정도 득표율을 얻을 수 있는지 추정해 보았다.

“선생님의 지역구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하겠습니까”라는 질문에 응답한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한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 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44%, 국민의힘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36%로 8%p 격차를 보였다. 수도권에서 양당의 지역구 예상 득표율이 8%p 차이가 날 경우 [표]의 역대 총선 결과 데이터로 유추해볼 때, 민주당과 국민의힘 의석수 배분 비율은 2016년(4%p 차)과 2020년(12%p 차) 총선 결과의 중간쯤이다. 양당에 대한 의석 배분이 77% 대 23%라고 가정한 결과, 수도권 122개 지역구 가운데 민주당이 77%에 해당하는 94석, 국민의힘은 23%에 해당하는 28석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권 지역 판세도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해 보면, 충청권 지역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각각 41%, 39%로 집계돼 민주당이 2%p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총선 결과 데이터에 기반해 의석수를 추정해 보면, 충청권 28개 의석 가운데 민주당이 55%에 해당하는 15석, 국민의힘이 12석(45%)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남·호남·강원·제주 지역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각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의석수는 지역별로 1~2석 변화가 있더라도 과거 선거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투표율 따라 결과 달라지고 희비 엇갈릴 듯

이런 논리에 기반해 22대 총선의 전국 254개 지역구 정당별 의석수를 종합하면 민주당 149석, 국민의힘 103석, 기타 정당 및 무소속 2석 정도로 나온다. 정당별 비례대표 의석수 또한 앞서 13개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정해볼 수 있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미래 31%, 조국혁신당 24%, 더불어민주연합 20%, 개혁신당 4%, 새로운미래 3%로 예상된다. 이를 기반으로 비례대표 46개 의석을 배분하면 국민의미래 17석, 조국혁신당 13석, 민주당 12석, 개혁신당 2석, 새로운미래 2석 정도 차지할 것 같다.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이른바 ‘포레스트’ 모델의 접근 방식으로 총선 판세를 총합해 예측한 결과 민주당 161석(지역 149+비례 12), 국민의힘 120석(지역 103+비례 17), 조국혁신당 13석(비례 13), 기타 정당 및 무소속 6석(지역 2+비례 4)이다. 다만 이런 추정이 여론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예상 의석수의 5% 정도 오차범위를 감안해 해석했으면 한다. 즉 민주당 153~169석, 국민의힘 114~126석으로 계산된다.

선거를 일주일여 앞둔 시점에 수집한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에 근거해 다가오는 총선 결과를 예측하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다. 일주일 동안 얼마든지 많은 변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우리는 역대 선거를 통해 목격해 왔다. 남은 기간 동안 예기치 않은 변수들이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표 시점의 민심을 정확히 포착할 수 없는 것도 문제다. 게다가 선거 막판 후보들의 우열을 가리기 힘든 접전 지역이 50~60개 지역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전체 지역구 투표 성향이 1~2%p만 변해도 정당별 예상 의석 10석 정도를 쉽게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특히 투표율은 선거 결과를 좌우할 수 있는 핵심 변수다. 여론조사 결과엔 투표율이 반영되지 않는다. 투표장에 가지 않은 유권자도 여론조사에 응답할 수 있고, 여론조사엔 응답했지만 투표장에 나가지 않는 유권자도 있다. 선거 결과는 오로지 투표장에 나간 유권자들에 의해 결정된다. 결국 누가 투표하러 가느냐에 따라 선거 결과가 달라지고 여야 희비가 엇갈릴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