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City Forum②] “위기의 지방 뭉쳐야 산다”
[인터뷰] 마강래 중앙대 교수 “17개 광역지자체, 5~7개 정도로 통합해야”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GOOD CITY FORUM 첫 번째 섹션 ‘지방 소멸 위기, 어떻게 대응하나’에서 ‘위기의 지방, 뭉쳐야 산다’ 주제로 강연한다. 마 교수는 최근 《지방도시 살생부》라는 책을 통해 지방도시의 쇠퇴 원인과 그 대안을 제시했다.한국의 도시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과 기술 발달로 외형은 화려해졌을지 모르지만, 정작 도시를 살아가는 시민은 오히려 활력을 잃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근본 원인은 하나로 요약됩니다. 바로 도시 발전에 ‘사람’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도시는 생명체입니다. 도시는 자본의 ‘상품’이 아니라 시민의 ‘삶터’입니다.
한국도시행정학회와 시사저널은 도시의 주인인 시민이 행복한 ‘착한 도시(Good City)’를 어떻게 만들어 나갈지 함께 고민하고자 10월23일 서울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GOOD CITY FORUM 2018」을 개최합니다. 올해는 그 첫걸음으로 위기에 내몰린 지방의 현주소와 지방 소멸 위기를 어떻게 대응할지, 그리고 문재인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도시재생뉴딜 사업’이 지역 발전을 어떻게 이끌어낼지 심도 깊게 논의합니다.
지방 중소도시의 쇠퇴 원인으로 저출산, 고령화, 저성장 그리고 제4차 산업혁명을 꼽았다.
“지방 소도시에는 애를 낳을 젊은이들이 많지 않다. 인구도 매우 고령화돼 있다. 일자리가 많지 않으니 활력이 떨어져 있다. 지금도 지식기반 제조업은 대도시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이게 중소도시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우리 국토에는 대도시와 그 주변지역으로 인구와 산업이 집중되는 대도시권화 현상이 더욱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공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강화될 것이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도시 쇠퇴의 대안으로 ‘압축도시’를 제안했다.
“지방 중소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원도심 쇠퇴는 도심 외곽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건설과 맞물려 있다. 인구가 정체했거나 감소하는 상황에서 도시의 외곽 개발은 원도심의 인구를 빠져나가게 했다. 게다가 지방 중소도시들에서의 인구유출은 아직도 멈추지 않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20년이 조금 넘게 지나면 우리나라 지자체의 30% 정도는 제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다.
지방은 광역시도 어려워진다고 한다. 지방이 전반적으로 붕괴되는 건 아닌지.
“지난해 전국의 6대 광역시 중 수도권에 속한 인천을 제외한 부산·대구·대전·광주·울산의 인구가 줄었다. 그리고 이렇게 인구가 줄어든 가장 큰 이유가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이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런 분석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다. 인구가 줄어들긴 했다. 하지만 큰 권역으로 보면 인구가 줄었다고 볼 수는 없다. 지방 광역시의 인구 감소는 수도권 외곽 팽창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서울 인구는 줄고 있지만, 수도권 인구는 늘어난 것처럼 말이다.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 대 지방’의 구도가 아닌, ‘수도권 대 지방 대도시권’의 구도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금과 같은 ‘수도권 vs 지방’ 프레임은 균형발전을 위한 논의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방(혹은 비수도권)은 수도권과 양립 가능한 용어가 아니기 때문이다. 양적으로 보나 질적으로 보나 이 둘은 달라도 너무 다르다. 수도권을 구성하는 서울·경기·인천은 유기적(有機的) 결합관계 속에 있다. 그래서 서울·경기·인천은 하나의 통으로 간주된다.
문재인 정부는 개헌과 맞물려 지방분권 강화 및 국토의 균형적 발전을 내세우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광역자치단체 17개, 기초자치단체가 226개 있다. 기초자치단체 중 30%는 앞으로 20년 내 존폐가 불투명할 정도의 어려운 지자체들이다. 대도시권화 현상은 예산 부족에 허덕이는 지자체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다. 게다가 지방분권까지 이루어진다면, 가난한 지자체는 답이 없다. 지방분권을 하지 말자는 얘기가 아니다. 지방자치는 우리가 끝까지 추구해야 할 소중한 가치다. 하지만 226개 기초지자체에 권한을 주다간 지역 간 격차만 더욱 심해질 수 있다는 걸 알아야 한다. 이제부터라도 권한 이양의 공간적 단위가 어때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Good City Forum’ 연관기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