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선 후 5대 이슈①] 완전히 새판 짜야 할 보수진영…새 리더가 안 보여

21대 총선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막을 내렸다. 민주당은 TK(대구·경북)와 PK(부산·울산·경남)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고르게 표를 얻어 미래통합당에 완승을 거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최종 집계 결과 민주당은 지역구에서만 163석을 확보했다. 비례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 의석(17석)까지 합칠 경우 180석으로 1987년 개헌 이후 단일 정당으론 최대 의석수를 기록하게 됐다. 지난 20대 총선 때부터 시작된 민주당의 승리는 대선, 지방선거에 이어 계속되고 있다. 특정 정당이 전국 단위 선거에서 4연승을 기록한 것이나, 중앙·지방권력에 의회권력까지 거머쥔 것은 우리 헌정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다. 투표율은 66.2%로, 71.9%를 기록한 1992년 14대 총선 이후 최고치다.

20대 총선 이후 내리 4연패를 당한 보수진영이 입은 내상은 사뭇 심각하다. 그나마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미래통합당의 전신)은 지역구에서 105석, 비례대표에서 17석을 얻었지만 이번에 통합당은 84석, 비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은 19석을 기록해 오히려 전체적으로 19석이나 의석수가 줄었다. 우리공화당, 친박신당 등 군소 보수정당은 한 석도 얻지 못했다. 총선 후폭풍 5대 이슈를 짚어봤다.

미래통합당은 당장 선거 후폭풍에 휩싸인 모습이다. 집권 3~4년 중반기에 치른 총선에서 야당이 진 적이 한 번도 없기에 통합당 지도부가 받은 충격은 더욱 크다. 차명진 후보의 막말 사태는 통합당을 바라보는 국민적 시선이 어떤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처음 차 후보의 발언이 전해지자 당 윤리위가 미온적으로 대처했고, 이에 대한 국민적 공분이 커지면서 격전지인 수도권에서 30~40대 표심은 떠나갔다. 차명진 사태는 정체성 문제를 놓고 혼선을 거듭하는 보수정치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이상돈 무소속 의원은 “2012년 총선 때 보수진영이 내건 캐치프레이즈는 ‘경제민주화·정치쇄신·복지국가’였다. 그런데 이번 선거에서 통합당이 ‘좌파척결·정권심판’ 말고 뭘 강조했느냐”면서 “2012년 총선까지 후보조차 제대로 내지 못했던 진보진영이 서울 강남권에서 선전한 것을 보수진영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황교안 대표는 선거 당일 전격 사퇴했다. 당내 대표적인 대권주자였던 황 대표는 원내 입성마저 좌절되면서 대권 레이스를 중단할 위기에 처했다. 황 대표의 정치권 진입에 도움을 준 측근(친황계) 대다수도 21대 국회에 들어가지 못해 현재로선 정치적 재기를 도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왼쪽)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는 4월15일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서 대표직 사퇴를 발표했다. (오른쪽)김종인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4월16일 국회에서 총선 결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시사저널 이종현·박은숙
(왼쪽)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는 4월15일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서 대표직 사퇴를 발표했다. (오른쪽)김종인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4월16일 국회에서 총선 결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시사저널 이종현·박은숙

홍준표‧김태호, 통합당 복당 당장 쉽지 않아

통합당의 진짜 고민은 당을 이끌 구심점이 없다는 점이다. 이번 총선 과정에서 5선 이상 중진 의원이 대거 탈락했다. 익명을 요구한 PK 지역 한 재선 의원은 “농심 하면 ‘신라면’이 생각나듯, 정당은 간판주자 한 명이 도드라져야 한다. 그런데 김형오 공천관리위원장이 개혁공천이라는 명목으로 중진을 대거 물갈이하면서 당의 구심점이 없어졌다. 그런 면에서 김형오가 이번 선거를 망친 ‘X맨’ 같다”고 비판했다. 김무성(6선)·정갑윤(5선) 의원은 불출마를, 이주영(5선) 의원은 컷오프됐다. 현재 당내 최다선 의원은 4선(5선 예정)인 정진석(충남 공주·부여·청양)·주호영(대구 수성갑)·서병수(부산 부산진갑)·조경태(부산 사하을) 당선인이다.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를 뽑을 경우 대권-당권 분리론이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불출마한 유승민 의원은 당내 세력과 함께 대선판을 그리는 방법을 모색할 것 같다. 현재 유승민계로 분류되는 인사들은 류성걸(대구 동갑)·강대식(대구 동을)·김희국(경북 군위·의성·청송·영덕)·조해진(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하태경(부산 해운대갑)·유의동(경기 평택을)·김웅(서울 송파갑) 당선인 등이 꼽힌다. 반대로 부정적인 기류도 만만치 않다. 통합당 관계자는 “수도권에 출마한 유승민계 의원 대부분이 떨어지면서 정치적 자산이 많이 약화된 데다 유 의원을 둘러싼 TK 지역의 ‘배신자’ 프레임은 여전하기 때문에 당장 대권주자로 발돋움하기가 쉽지 않다”고 평가했다. 그런 점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홍준표·김태호 당선인의 행보가 주목받는다. 당의 구심점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이들은 당으로 복귀하면 곧바로 당권·대권주자 반열로 올라간다. 이번에 낙선한 오세훈·김병준·나경원 후보 등 잠룡들은 당분간 현실정치에서 목소리를 내기 어렵게 됐다.   ☞‘총선 후폭풍 5대 이슈’ 연관기사 “좌파척결·정권심판” 바람만 기댄 ‘무능 보수’ yongshu668.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843 민주당의 다음 승부수, ‘개헌론’ 본격 점화

yongshu668.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896

與, ‘윤석열 검찰’ 흔들기 본격화할까?

yongshu668.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897

‘청와대 정부’ 강화…‘비문’과 갈등 불거질 수도

yongshu668.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898

사라진 ‘제3지대’…거대 양당 정쟁 격화될 듯 yongshu668.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899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