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15 총선, 진영 간 대결 구도 심화…총선 관심도도 떨어져
민주당과 통합당이 정당 지지율 양분
먼저 역대 국회의원 선거를 기준으로 확인해 보자. 무소속 후보는 정당의 공천을 받지 못했거나 받으려고 시도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대개의 경우 국회의원 선거에 도전하는 후보자들은 공천을 희망한다. 개인이 동원할 수 있는 조직력에는 한계가 있고 전국적인 선거의 구도와 바람을 주도하는 정당의 조직력은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지난 1988년 13대 총선 이후 역대 총선에서 무소속 당선자 수를 보면 다음과 같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에 의하면 1988년 총선에서 무소속 당선자는 9명이었다. 그 후 선거에서 무소속 당선자가 두 자릿수 이상 배출된 선거는 1992년, 1996년, 2008년, 2016년 4차례였다. 총 8번의 선거에서 4번이나 된다. 특히 이 중에서도 20명 이상으로 무소속 당선자가 많았다고 볼 수 있는 선거는 1992년과 2008년이었다. 1992년 선거는 3당 합당 이후 실시된 총선이었다. 3당 합당은 서로 다른 3개 정당의 결합이었고 1988년 3김(김영삼·김대중·김종필)이 주도했던 선거에서 당선됐던 국회의원이 대거 공천을 받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게다가 민주화 과정에서 각자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었던 후보들이었기에 대거 무소속 출마를 단행하는 배경이 됐다. 왜냐하면 개인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것이 군소 정당을 간판으로 내거는 것보다 오히려 더 나은 후보들이었기 때문이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무려 25명이나 당선됐다(그림①). 이때가 바로 한나라당의 공천 파동이 벌어지면서 친박계 의원들이 대거 무소속으로 출마한 선거였다. ‘나도 속았고 국민도 속았다’는 박근혜 당시 의원의 발언은 지금까지도 정치권에서 회자되고 있다. 박근혜라는 인물의 영향력을 믿고 무소속을 선택한 배경이 됐다. 그런데 무소속 후보들이 선전했던 두 번의 선거 결과를 분석하면 특별한 이유가 있었다. 공천 파장이 심각했고 정당의 영향력은 비교적 미미했다. 게다가 지역구에서 다자 대결구도가 만들어진다면 승산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 선거는 다르다. 공천 잡음이 있기는 하지만 당이 주도권을 상실할 정도는 아니다. 그리고 이번 총선은 민주당과 통합당의 양당 구도가 뚜렷하다. 두 번째로 무소속 후보의 한계는 진영 간 대결 구도 때문이다. 21대 총선은 철저하게 진보와 보수 또는 좌우 대결 구도로 진행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평가를 보면 긍정과 부정이 거의 협착 상태일 정도로 틈새 없이 국론을 양분하고 있다. 이러한 정치적 긴장 상태는 최소한 총선까지는 이어질 공산이 크다. 왜냐하면 총선을 앞두고 대통령 지지층들이 더욱 결집하는 양상이기 때문이다. 리얼미터가 TBS의 의뢰를 받아 지난 3월9~11일 실시한 조사(자세한 개요는 그래프에 표시)에서 ‘선거에서 정당 투표를 어느 정당에 할지’ 물어보았다. 민주당 36.4%(비례 위성정당은 ‘더불어시민당’), 미래한국당(통합당의 비례 위성정당) 28.9%, 민생당 2%, 정의당 7.8%, 국민의당 6.1%로 나타났다. 더불어시민당 참여 가능성이 있는 민생당을 제외하더라도 두 거대 정당의 합이 80%에 육박한다(그림②). 지역구 숫자까지 합한다면 거의 대부분이다. 마른 걸레를 쥐어짜듯 지지층을 결집하고 있는 국면에서 무소속 후보가 비집고 들어갈 틈이 별로 없어 보인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깜깜이 선거’도 변수
마지막으로 무소속 출마 파괴력이 제한적인 이유는 ‘총선 관심도’ 때문이다. 선거는 구도, 이슈, 후보로 구성된다. 구도는 철저하게 진영 간 대결구도다.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민주당과 통합당 중심으로 지지층이 더 집결하고 있다. 후보는 코로나19 국면 때문에 누가 출마했는지 잘 알기도 어렵고, 사실상 선거운동은 깜깜이다. 남은 것은 각 당의 총선 공약, 즉 이슈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코로나19 블랙홀이 모든 이슈를 집어삼킨 지 이미 오래다. 한국리서치가 한국일보의 의뢰를 받아 3월1~2일 실시한 조사(자세한 개요는 그래프에 표시)에서 주요 이슈에 대한 총선 관심도를 물어보았다. 코로나19에 대해 10명 중 9명 이상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③). 절대적인 관심이다. 그다음은 먹고사는 문제인 경제 이슈였다. 선거의 중심에 있어야 할 각 당의 공천이나 보수 통합 이슈는 상대적으로 관심권 밖으로 멀어졌다. 공천에서 무엇이 문제였고 무소속 출마 배경이 뭔지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무소속 후보에 대한 관심은 매우 제한적이다. 공천 파장은 우리 정치의 일상이 되고 있다. 선거 시즌만 되면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공천 참사가 유권자들의 실망으로 이어진다. 어느 정파에도 속하지 않는 무소속 후보의 존재 가치는 분명히 있다. 그러나 선거의 속성에 따라 판세는 지배받아 왔다. 과거 선거 역사를 보거나 진영 간 대결 구도, 총선에 대한 관심도를 감안할 때 이번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가 설 곳은 별로 없어 보인다.
[단독] 태극기 부대 , 가짜뉴스에 실검 조작까지
[단독] 태극기 부대 “박근혜라도 ‘가짜 보수 지지’ 지시할 수 없다”
서울 격전지 오차범위 초박빙…나경원·오세훈, 정치 신인에 밀릴까
이낙연-황교안, 역대 최고의 ‘정치 1번지’ 빅매치
고민정-오세훈, 엎치락뒤치락 그야말로 ‘혈전’
‘文 호위무사’ 최재성 vs ‘洪 키즈’ 배현진의 ‘리턴매치’
엎친 데 덮친 격, 울고 싶은 김부겸
고양정, 김현미發 악재에 최대 격전지로
한선교의 난…‘황교안 영입인사’ 비례 순위권 밖으로
‘文대통령 지역구’ 둘러싼 배재정과 장제원의 ‘낙동강벨트 고지전’
입소문난 히메지몬자 골프 풀세트, 57% 할인에 사은품까지~